역할, 책임, 협력
객체들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수행하는 상호작용을 협력이라 한다. 객체가 협력에 참여하기 위해 수행하는 로직은 책임이라고 한다. 그리고 객체들이 협력 안에서 수행하는 책임들이 모여 객체가 수행하는 역할을 구성한다.
협력
객체는 고립된 존재가 아닌 여러 객체와 상호 협력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은 객체들이 협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수신한 메세지를 처리할 방법은 객체 스스로가 선택한다는 것이다. 즉, 객체는 자신의 일을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독립적인 존재이다.
객체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존재로 만드는 기본적인 방법은 내부 구현을 캡슐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경에 대한 사이드 이펙트를 제한할 수 있고 캡슐화를 잘 한 객체는 변경하기도 쉬워진다.
책임
책임은 객체에 의해 정의되는 응집도 있는 행위의 집합이다. 즉, 객체가 유지해야하는 정보와 수행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해 정의한다. 즉, 객체는 하는 것과 아는 것 두 범주로 나누어 세분화 할 수 있다.
하는것
- 객체를 생성하거나 계산을 수행하는 등의 스스로 하는 것
- 다른 객체의 행동을 시작시키는 것
- 다른 객체의 활동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것
아는 것
- 사적인 정보에 관해 아는 것
- 관련된 객체에 관해 아는 것
- 자신이 유도하거나 계산할 수 있는 것에 관해 아는 것
객체는 자신이 맡은 책임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알고 있을 책임이 있다. 그리고 객체는 자신이 할 수 없는 작업을 도와줄 객체를 알고 있을 책임이 있다. 이는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이다.
자율적인 객체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책임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장 잘 알고있는 전문가에게 그 책임을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객체에게 책임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협력을 정의해야 한다. 협력을 설계하는 출발점은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시스템이 담당할 하나의 책임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객체지향 설계는 시스템의 책임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더 작은 책임을 찾아내고 이를 객체들에게 할당하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모양을 갖춰간다. 이를 책임 주도 설계라 한다.
-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기능인 시스템 책임을 파악한다.
- 시스템 책임을 더 작은 책임으로 분할한다.
- 분할된 책임을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객체 또는 역할을 찾아 책임을 담당한다.
- 객체가 책임을 수행하는 도중 다른 객체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이를 책임질 적절한 객체 또는 역할을 찾는다.
- 해당 객체 또는 역할에게 책임을 할당함으로써 두 객체가 협력하게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메세지가 객체를 결정해야 한다. 메세지가 객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면 최소한의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상적인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객체의 인터페이스는 무엇을 하는지 표현해야하는 것 이지 어떻게 수행하는 지를 노출해서는 안된다. 메세지는 외부 객체가 요청하는 무언가를 의미하기 때문에 메세지를 먼저 식별하면 무엇을 수행할지에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객체는 협력에 필요한 행동을 제공해야 한다. 이는 객체를 객체답게 만드는 방법이다. 협력 관계 속에서 다른 객체에게 무엇을 제공해야 하고 다른 객체로부터 무엇을 얻어야 하는지를 고민해야만 훌륭한 책임을 가질 수 있다. 각 객체의 상태가 아닌 행동에 중점을 둬야 시스템의 기능 구현에 있어 응집도가 높고 결합도가 낮은 객체들을 만들 수 있다. 상태는 객체가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단순 재료일 뿐이다.
역할
객체의 목적은 협력 안에서 객체가 맡게 되는 책임의 집합이 된다. 그리고 이를 역할이라 한다. 그리고 역할이라는 개념을 통해서 재사용이 가능한 협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가령 Child 클래스가 가리키는 역할은 자식이라는 역할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 역할을 기반으로 협력을 할 수 있게 하는 아들과 딸이라는 클래스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역할이라는 개념은 우리가 말하는 추상화라는 개념에 수렴하게 된다.